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bufferdreader
- TCP
- mysql
- nodejs
- graphql
- java11
- 서버
- 조건문
- Mongoose
- 자바
- HTTP
- restapi
- MapReduce
- eof
- redis
- puppeteer
- ai
- Apollo
- Scanner
- 프로그래머스
- Spring
- 스프링
- 스프링부트
- k8s
- java
- mongodb
- Docker
- 백준알고리즘
- Android
- LangChain
- Today
- Total
자라나라 개발머리
[프로그래머스/JAVA] 택배 배달과 수거 본문
문제
문제 설명
당신은 일렬로 나열된 n개의 집에 택배를 배달하려 합니다. 배달할 물건은 모두 크기가 같은 재활용 택배 상자에 담아 배달하며, 배달을 다니면서 빈 재활용 택배 상자들을 수거하려 합니다.
배달할 택배들은 모두 재활용 택배 상자에 담겨서 물류창고에 보관되어 있고, i번째 집은 물류창고에서 거리 i만큼 떨어져 있습니다. 또한 i번째 집은 j번째 집과 거리 j - i만큼 떨어져 있습니다. (1 ≤ i ≤ j ≤ n)
트럭에는 재활용 택배 상자를 최대 cap개 실을 수 있습니다. 트럭은 배달할 재활용 택배 상자들을 실어 물류창고에서 출발해 각 집에 배달하면서, 빈 재활용 택배 상자들을 수거해 물류창고에 내립니다. 각 집마다 배달할 재활용 택배 상자의 개수와 수거할 빈 재활용 택배 상자의 개수를 알고 있을 때, 트럭 하나로 모든 배달과 수거를 마치고 물류창고까지 돌아올 수 있는 최소 이동 거리를 구하려 합니다. 각 집에 배달 및 수거할 때, 원하는 개수만큼 택배를 배달 및 수거할 수 있습니다.
다음은 cap=4 일 때, 최소 거리로 이동하면서 5개의 집에 배달 및 수거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입니다.
집 #1 | 집 #2 | 집 #3 | 집 #4 | 집#5 | |
배달 | 1 | 0 | 3 | 1 | 2 |
수거 | 0 | 3 | 0 | 4 | 0 |
(중간 생략)
트럭에 실을 수 있는 재활용 택배 상자의 최대 개수를 나타내는 정수 cap, 배달할 집의 개수를 나타내는 정수 n, 각 집에 배달할 재활용 택배 상자의 개수를 담은 1차원 정수 배열 deliveries와 각 집에서 수거할 빈 재활용 택배 상자의 개수를 담은 1차원 정수 배열 pickup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. 이때, 트럭 하나로 모든 배달과 수거를 마치고 물류창고까지 돌아올 수 있는 최소 이동 거리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.
풀이
내 답안(다른 사람의 풀이 참고)
class Solution {
public long solution(int cap, int n, int[] deliveries, int[] pickups) {
long answer = 0;
int delivery = 0;
int pickup = 0;
for(int i=n-1; i>=0; i--) {
if(deliveries[i]!=0 || pickups[i]!=0) {
int cnt=0; //반복횟수
while (deliveries[i]>delivery || pickups[i]>pickup) {
delivery += cap;
pickup += cap;
cnt++;
}
delivery -= deliveries[i];
pickup -= pickups[i];
answer += (i+1)*cnt*2; //현재위치*반복횟수*왕복
}
}
return answer;
}
}
1. 처음에 delivery += cap; 여기서 왜 = 을 안쓰고 +=을 쓰는지 이해를 못했다.
2. 실제로 +=말고 =으로 실행해봤더니 일부 케이스가 오답처리 됐다.
3. 그래서 하나하나 그려가며 해봤더니
택배 차 자리가 남지만, 다음 집의 배달 및 수거가 모두 진행되지 않을 만큼인 경우에서
+=으로 하면, 다음 집의 일부를 가져가기 때문에 최소횟수에 영향을 끼칠 수 있고
=으로 하면, 다음 집을 패스하고 돌아가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더 많이 이동할 확률이 생긴다.
'알고리즘 > 프로그래머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프로그래머스/JAVA] 공원 산책 (2) | 2023.04.14 |
---|---|
[프로그래머스/JAVA] 마법의 엘리베이터 (0) | 2023.04.08 |
[프로그래머스/JAVA] 같은 숫자는 싫어 (0) | 2023.04.05 |
[프로그래머스/JAVA] 로또의 최고 순위와 최저 순위 (0) | 2023.04.03 |
[프로그래머스/JAVA] 구명보트 (0) | 2023.04.01 |